When you get there

📝Go green - 아이디어 도출 본문

External Activity./2020-03 'Go green'

📝Go green - 아이디어 도출

Jae___free 2020. 3. 9.

안녕하세요 :)

 

 

 

Schneider electric Korea에서 주최한 Go green은 현재 2020.03.06 이후로 다 끝났지만, 저의 추억을 남겨두기 위해, 혹시 도움이 되는 분들이 있다면 참고하시면 좋을듯 해서 글을 남겨놓습니다.😊

 

 

 

 

저희 조에서는 공모전 대회명 'Go Green'에 맞춰서 '친환경'을 최우선으로 생각했습니다.

 

 

Go green의 여러 카테고리중, 저희는 'Grids of the future'를 선정하였습니다.

 

 

Grid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던 저는, Grid에 대해 공부를 하였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그리드는 'Smart(똑똑한) + Grid(전기, 가스 등의 공급용 배급망, 전력망)'의 단어가 합쳐져 차세대 전력망, 지능형 전력망으로 불립니다.

 

전기 공급자와 생산자들에게 전기 사용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전기 공급을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로 전기와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해 전력망을 지능화, 고도화해 고품질 전력서비스를 제공하고 에너지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는 말입니다.😀

 

 

 

이 스마트 그리드에서 핵심이되는 부분은 ESS(Energy Storage System)입니다.

 

핵심이 되는 ESS에 간해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ESS Architecture

ESS는 거대한 식량창고라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Battery는 식량,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은 식량 체크및 관리 담당자, EMS(Energy Management System)은 식량창고 출입 담당자, PCS(Power Conditioning System)은 재화로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울것 같습니다.

 

 

ESS가 중요한 이유는,

 

1. ESS는 그리드 시스템의 주파수를 안정화한다.

 

2. ESS는 일반 주택과 상업 시설에서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3. ESS는 재생에너지가 간헐적이라는 결함을 보완할 수 있다.

 

입니다. 

 

많이 들어보셨을테지만, 화석연료의 사용은 한정되어 있고 또한 환경오염의 문제점또한 대두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자연으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재생에너지의 사용은 많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재생에너지는 주파수가 불안정하여 안정적으로 전력생산이 불안정합니다. 이에 저희가 사용에 필요한 재생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해 ESS는 꼭 필요합니다.

 

 

 

❗ 하지만 이 핵심이되는 ESS에 인을 모를 화재가 연이어 발생한다는 점이 최대의 문제점이었습니다.

 

 

이에 삼성SDI, 여러 기업체에서 안전대책을 내놓았고, 정부에서는 조사위원회를 계속해서 파견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많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마침 저는 학교 수업과목에서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이라는 말로부터 아이디어를 얻었고, 찾아보고 공부한 결과, Biomimicry(;생물체의 특성, 구조, 및 원리를 산업 전반에 적용시키는 것)이라는 말을 알게되었습니다.

 

 

 

'자연에서 영감을 얻어서 만든 어떤 것이, 자연에 친환경적이고 사람들에게 이로움을 준다' 저는 여기서 정말 거부할 수 없는 매력을 느꼈습니다.

 

 

Biomimicry에 대해 공부를 하면서 탱크외피의 구조가 전복껍질의 진주층을 모방해 만들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전복껍질에 대해 흥미를 갖고 공부를 하면서, 전복껍질을 ESS화재에 접목시켜보면 어떨까 생각을 하였고, 이를 아이디어로 제출하였습니다.

 

 

Go green 발표 자료 약간 발췌

 

이에 1차 아이디어 평가에서 통과를 하였고, 결승에 진출하게 되었습니다. 😊

Comments